식중독 예측지도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지상기상관측정보, 한국환경공단에서 제공하는 대기오염통계정보의 분석을 통해 지역별 진료정보를 예측하여, 지역별로 식중독에 대한 발병가능성 및 유행정도 등의 예측정보를 관심, 주의, 경고, 심각 4단계로 알려주는 척도입니다.
식중독 발생확률 예측지수
질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상기상관측 정보인 기온, 최저기온, 최고기온, 습도와 대기오염통계정보인 미세먼지 농도를 기반으로 예측 모델을 적용하여 나타낸 지수입니다.
식중독 발생확률 예측모델
세균성 및 바이러스성 식중독 발생 여부를 기반으로 기상 조건에 따른 각각의 발생 확률을 계산합니다. 세균성 식중독 발생 확률은 기온과 미세먼지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산출하며, 바이러스성 식중독 발생 확률은 기온과 습도 등의 요소를 반영하여 도출합니다. 이후, 각 확률을 와이블 분포와 지수 분포를 적용하여 상위 백분위값을 계산합니다. 그리고 해당하는 월과 해당 원인균의 비율을 각각 세균성 식중독 지수와 바이러스성 식중독 지수에 곱하여 조정하며, 최종적으로 이를 합산하여 최종 식중독 지수를 산출합니다.
☑영향인자
- 기상변수 : 기온(일최저기온, 일최고기온, 일교차), 풍속, 습도
* (세균성) 일교차↓, 일최저기온↓, 일습도↑ (바이러스성) 습도↓, 일교차↓
- 월별가중치 : 과거1년(23년)간 월별 세균성, 바이러스성 식중독 발생 비율을 상수화
- 지역가중치 : 모델에서 산출된 값으로 식중독 발생 비율이 높은 지역에 가중치 부여
식중독 위험도 예측
예측 모델을 통해 도출된 값으로 위험도를 관심, 주의, 경고, 심각으로 구분합니다.
위험도 구분 |
심각 |
경고 |
주의 |
관심 |
값 |
86이상 |
71이상 86미만 |
55이상 71미만 |
55미만 |